/m_logo.png)
newsletterFebruary 2021
/1614076274_nl_01_b02.jpg)
디자인학회 뉴스레터 발간
한국디자인학회 회원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학회장 백진경 입니다.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모든 일상과 학회활동이 큰 제약을 받은 한 해였습니다. 두 번의 학술대회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행사와 이사회 등의 회의, 회원들 간의 소통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학회의 소식은 작년에 개편된 홈페이지와 이 메일을 통해서 전하고 있으나, 뭔가 아쉬운 부분이 많아, 2021년부터는 회원들을 위한 뉴스레터를 두 달에 한 번씩 발행하고자 합니다. 기존에 발행되던 ADR, DSUS(대학생학술발표대회) 등 사업별 뉴스레터와 병행해, 한국디자인학회 뉴스레터에서는 학회에서 진행된 다양한 사업관련 소식과 회원 동정 등을 통합하여 전달하고자 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격려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1614076274_nl_01_b01.jpg)
휴먼시티디자인워크샵최 개최
휴먼시티디자인워크샵은 한국디자인학회와 서울디자인재단이 공동 진행하여 디자인을 통해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도시문화를 제안하고자 추진되었다. 학회 측에서는 오병근 부회장이 국내 워크샵 진행을, 전수진 상임이사가 해외 네트워크 및 진행을 맡아 수고 하였다. 2020년 8월 학회 회원 대학을 중심으로 참여팀을 모집하여 전국 대학에서 25개 대학 31팀, 지도교수 및 학생 180여명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9월부터 12월까지 각 팀별로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기반의 워크샵으로 진행되었다. 디자인학회 가을국제학술대회에서 각 팀의 주제들이 발표되었으며, 결과물을 정리하여 12월초에는 유튜브로 생중계된 최종 발표회를 가졌다. 공공시설, 지역재생행사. 커뮤니티기반 조성 등 도시 환경과 공동체와 직결된 문제들을 발굴하고 해결점을 모색한 깊이있는 아이디어들이 제시되었다. 이 아이디어들은 아카이빙북으로 제작되어 배포되었고 2021년 2월 DDP에서 전시회를 열어 일반 시민들에게 선보였다. 한국디자인학회와 서울디자인재단이 공동진행한 이번 휴먼시티디자인워크샵은 산학협력의 좋은 모델로써 도시의 삶과 터전을 함께 그리며, 디자인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좋은 기회였다.
바로가기
2020 가을 국제학술대회 개최
한국디자인학회 2020 가을 국제학술대회·대학생 디자인 학술발표대회(공동조직위원장:정의철 서울대 교수, 연명흠 국민대 교수)가 2020년 11월 13일부터 14일 양일간 서울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학술대회 주제는 ‘좋은 삶을 위한 디자인 실천 (Design Work for a Good Life)’으로 좋은 삶의 태도와 관점, 그리고 좋은 삶에 다가가기 위한 여정과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자 하였다. 11월 13일은 ‘Good Work’라는 주제로 서울, 베를린, 런던에서 활동하는 Hanmin Kim (e-dong-shi), Ali Azimi (kind of blau), Dawoon Chung (Bottle Factory), Hojun Song (Media Artist), Robin Howie (Fieldwork Facility)의 다섯명의 크리에이터가 ‘목적을 이끄는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유튜브방송을 통해 진행하였다. 11월 14일 키노트 세션은 Equalizing Inequalities를 주제로 Paul Coffey (SAIC 부학장), Orkan Telhan (UPenn 부교수)가 강연을 진행하였다. 스페셜세션으로는 디자인 R&D의 혁신 방향, Better Life by Design, 디자인글쓰기, 디자인학회에 바란다, 기업 트렌트와 개발 사례를 주제로 13명의 연사가 발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우수논문상 세션을 포함하여 16개의 일반 세션과, 8개의 대학생학술대회 세션이 열렸으며,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를 포함하여 총 115편의 학술논문이 구두발표되었다. 학술대회 참가 등록자 수는 총 325명으로 온라인 학술대회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한 자리이기도 하였다. 대학생학술대회에 최우수상은 '바톤: 공유 킥보드 서비스의 주차문제해결을 위한 유저 간 바른 주차평가 및 딜리버리 서비스 제안'을 발표한 국민대팀이, 우수상은 4개 팀이 수상하였다.
바로가기
2020 가을 국제초대전 개최
2020 가을 국제초대전이 2020년 11월 13일부터 18일까지 DDP 크레아(CREA)에서 개최되었다. 서울디자인재단의 협조로 진행된 이번 전시에는 10개국에서 총 135명의 작품이 출춤되었다. 이번 행사의 개회식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거리두기에 동참하여 백진경 한국디자인학회장과 최경란 서울디자인재단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만 참석하여 이루어졌으며 전체적인 전시행사리뷰는 녹화를 통해 학술행사기간 동안 회원들에게 공개되었다.2020년 봄 국제초대전에서는 Emmanuel Luc Marie Wolfs(국민대학교)의 SLV1 - Engineered Nature Series 가 Grand Prize를 고영준, 김기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Hand Bik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를 비롯한 7개의 작품이 Special Prize를 수상하였다. 2021년에는 국제초대전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해외전시와 특별전시를 추가로 기획하고 있어 회원들의 많은 참여가 기대된다.
바로가기
Archives of Design Research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36호(Volume 33, No 4)가 발간되었다. 이번 호에는 영어논문 5편, 국문논문 7편, 이렇게 총 12편의 논문이 게재 되었다. 이번 호에 실린 논문들은 이론적 차원에서 문해해결 과정의 복합성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거나 감성디자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응용의 차원에서 디자인 중심의 융합적 접근법을 체계화하려고 시도가 돋보였다.
바로가기
이동형 음압병실 개발 KAIST 남택진 교수
코로나19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병상을 확보하는 데 비상이 걸린 가운데 음압 병동 확보에 획기적인 방안이 나왔다. KAIST 남택진 교수 연구팀은 에어텐트의 장점을 활용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음압병상 (Mobile Clinic Module)을 개발하여 발표하였는데. 지난해 12월 28일 서울 노원구 한국원자력의학원에 4개 병상으로 시범 설치되었다. 이 병상 안은 음압 시설을 갖춘 중환자 케어용 전실, 음압병실 4개, 간호사나 의사들이 원격으로 환자와 병실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는 간호스테이션과 의료진실, 그리고 방역복으로 갈아입는 공간인 탈의실, 각종 의료장비 보관실로 꾸며져 있다. 코로나19 중증환자가 병원에 도착할 때부터 병상에 눕기까지 추가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환자와 의료진의 모든 동선은 적절히 분리되어있고 통행로는 음압 기능을 갖추고 있다.특히 의료진이 방역복을 입지 않고도 환자에게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외부 창을 만들어 직접 접촉 하지 않고도 환자의 검체를 채취하고 물품 등을 지급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음압병상'의 장점은 기동성인데, '음압 프레임'을 설계하고 이를 '에어 텐트'와 연결하는 모듈형 구조로 접목해 최소한의 구조를 구축해냈으며, 병상 자재 이송과 설치는 통상적으로 5일 안에 가능하고, 현장 조립만 치면 15분이면 끝낼 수 있다. 또 컨테이너나 텐트 등을 활용한 기존 조립식 병상과 비교해, 증축 비용은 80% 절감할 수 있으며, 부피와 무게를 70% 줄인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는 점도 있어, 임시 수용시설에 가까운 기존 병상과 달리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로가기
유큐브를 개발한 UNIST 김관명 교수
유니스트 디자인학과 김관명교수가 ‘유큐브’라는 신개념의 두뇌개발 장난감을 개발해 지난 1월에 Wadiz에서 4천7백여만 원의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하였다. ‘유큐브’는 기존의 색깔을 맞추는 스피드 큐브와는 달리 입구에 구슬을 넣고 블록을 돌려 구슬이 지나는 통로를 만들어 나가면서 구슬을 출구로 몰고 가는 방식을 갖는 놀이 기구로 ‘손재활보조도구’로 등록 되었으며, 현재 대학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들과 재활치료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김관명 교수는 ‘학교 연구실에서 개발한 아이디어가 그저 논문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쓰여질 수 있도록 상품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바로가기
김영기 교수 K-Spirit Youtube 강좌 개설
이화여자대학교에 재직하셨고, 계원예술대학교 총장과 한국디자인학회 제 2대 회장을 역임하신 김영기 교수께서 그간의 경험과 디자인 관을 집약하신 K-Spirit Youtube 강좌를 시작하셨습니다. 강좌의 내용은 한국문화의 지혜의 'Deep factors'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리고 한국문화가 21세기 세계문화 지형도에 미칠 요인에 대하여 알고, 앞으로 100년을 살아갈 새로운 밀레니얼 세대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등에 관한 것입니다.# 한국인의 지혜
바로가기
박종찬 교수 개인전
인천대학교 박종찬 교수 개인전 ‹Digital Design from Natural Form›이 지난 2020. 12. 9(수)부터 12. 15(화)까지 인사동의 갤러리 이즈 제 4전시장(B1)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우리 주변의 자연 속에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자연 형태를 조형적 관찰을 통해서 형태와, 기능 구조, 의미를 재발견하고 이를 컴퓨터상에서 모델링 작업을 거친 후, 3D 프린팅 및 레이저 커팅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들입니다.
바로가기
제22회 대한민국 디자인대상: 오병근 교수, 김원섭 교수, 류동석 이사 수상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한 2020년 '제22회 대한민국디자인대상' 시상식에서 우리학회 오병근 연구분과 부회장(연세대학교)이 대통령표창을, 김원섭 전시분과 부회장(서울과학기술대학교)과 류동석 기획분과 이사((주)이니션 대표이사)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을 수상했습니다.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국가 디자인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디자인 개발·관리·육성으로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지자체, 우수기업 등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수상하신 3분의 회원님께 축하드립니다.
바로가기
국립디자인박물관 포럼 2021 개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우리 학회가 주관한 국립디자인박물관 포럼이 2021.1.18에 온라인으로 개최되어 세종시 박물관 단지내에 건립예정인 국립디자인박물관의 상설전 전시구성과 기획전을 포함한 전시운영계획, 공간계획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김상규 교수(서울과기대)가 '국립디자인박물관 연구의 개괄'을 주제로, 박해천 교수(동양대), 오창섭 교수(건국대)가 '상설전 전시구성과 연출방향'을, 차승주 큐레이터(아르코미술관), 정이삭 소장(에이코랩)이 '디자인박물관 공간과 프로그램'으로 발제하였고, 김현석 교수(홍익대)의 사회로 패널 토론이 진행되었다. 이번 포럼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연구용역 사업인 '국립디자인박물관 전시 운영계획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지난 10년간 진행되었던 관련 연구를 정리하고 한국 고유의 역사적 경험과 맥락을 반영한 한국형 디자인박물관, 동시대 중심의 디자인박물관, 연구와 기획 중심의 디자인박물관, 성장하는 디자인박물관이라는 국립디자인박물관의 건립비전을 공유하고 상설전 전시구성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바로가기
통일디자인심포지엄최 개최
한국디자인학회와 국민대 통일디자인연구실은 2020.12.18에 통일디자인심포지엄 2020을 개최하였다. 한반도 평화 체제의 구축과 남북 통일에 기여하는 디자인 연구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 최초로 열린 학술대회로, 통일부와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의 후원으로 비대면 형식으로 개최되었다. 백진경 디자인학회 회장 및 전병길 통일과나눔 사무국장의 축사와 함께 열린 통일디자인심포지엄 2020에서는 총 7명의 연사가 북한 산업 디자인의 형성 과정 및 주요 디자이너, 북한의 상표 출원 및 등록, 평양의 공공 환경과 디자인, 북한 IT의 UX, 북한 디자인 교육, 통일을 위한 디자인의 상상 등 다채로운 주제로 그간의 연구 내용을 공유하였다. 이 날 심포지엄의 개최와 더불어 통일디자인연구소 (www.tongildesign.com) 및 북한⬝통일 디자인 전문가 협회인 통일디자인포럼도 공식으로 발족되었다. 연구소와 포럼은 앞으로 정기적인 심포지엄 개최와 콜로키움 운영 등의 학술 연구 활동을 통해 디자인이 한반도의 평화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만들어 가는데 일조할 예정이다.
바로가기사단법인 한국디자인학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322, 410호(야탑동, 코리아디자인센터) 대표 전화 : 031-781-5021 논문간사 : 031-781-5022 팩스 : 031-781-5023사업자등록번호 : 314-82-07155 이메일 : ksds@design-science.or.kr한국디자인학회 All rights reserved